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기초 해부학-척추(spine)의 구조와 기능 그리고 척추 커브

by 직립보행자 2023. 4. 4.

척추(spine)는 사지의 시작부위 이기도 하며 사지 움직임의 기반이 된다. 척추의 안정성을 바탕으로 사지는 효율적으로 움직임일 수 있게 된다. 

척추(spine)는 경추(목뼈cervical spin), 훙추(등뼈 thoracic spine), 요추(허리뼈 lumbar spine)로 구성되어 있다. 척추의 커브는 해부학적으로 이상적인 커브와 기능적인 커브로 나눌 수 있다. 척추 주변 구조물의 변형이나 손상은 척추의 근골격계 질환을 일으키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해부학적으로 이상적인 척추의 S자 커브

척추의 이상적인 S자 커브

인간은 진화를 거치면서 척추의 S자 커브를 갖게 되었다. 척추의 S자 커브는 충격을 흡수하기기 좋은 형태로 인간의 움직임에서 스프링과 같은 역할을 하고 있다. 역학적으로 척추의  S자 척추 커브는 일자 형태의 척추 보다  10배 이상 척추 압박 부하를 견딜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때문에 척추의 건강과 척추의 S자 커브의 변형을 연관짓는 경우가 많다. 또한  S자 커브의 변형은 곧 체형의 변형과 동의어로 설명되고는 한다.  S자 척추 커브는 이상적으로 관절이 쌓여있는 형태를 말하지만 반드시 S자 척추 커브의 변형이 통증과 인과성이 있는 것은 아니다. 

 

이상적인 척추 자세는 각도로 존재하는가?

다수의 서적에서는 요추의 전만각 45도, 흉추 후만각 40도, 경추 전만각 35도 내외를 이상적인 척추 정렬 상태로 정의 내리고 있다. 이 각도에서 척추는 가장 에너지 효율이 좋으며, 이각도의 변형이 왔을때 근골격계 질환의 위험성이 커진다고 알려져 왔다. 하지만 후속 연구들을 통해서 척추의 이상적 각도에는 평균치가 없다는 사실들이 보고 되었다. 인간은 공장에서 찍어내는 로봇이 아니라 S자 척추 각도에 평균치가 없다는 것이다

 

기능적인  척추커브 (중립 자세)

기능적인 척추의 중립자세란 사람마다 가지고 있는 고유성, 개별성을 인정한 기능적인 바른 자세를 말한다. 각도로서 척추의 곡선을 정의 하는 것이아니라 개인이 가지고 있는 통증이나 불편함이 줄어드는 자세, 기능적으로 효율성이 가장 좋은 자세를 말한다.  즉 기능적으로 가장 안정성이 있는 자세라고 정의 내릴 수  있다.  

 

추골(vertebra)의 구조

추골(vetebra)의 구조

추골(vertebra)은 몸통인 추체(body)와 그 뒤쪽의 척추궁(vertebral arch)으로 나눌 수 있다. 척추궁은 차례대로 척추경(pedicle)→관절면(articular facet)→추궁판(lamina)→극돌기(spinous process)으로 구분할 수 있다. (횡돌기transverse process는 관절면에 붙어 있다. ) 요추(허리뼈)에는 5개 , 흉추(등뼈)는 12개, 경추(목뼈)는 5개로 구성되어 있다.  

 

후관절(facet joint 면관절)

상 하 관절 돌기가 만나는 후관절(facet joint. apophyseal joint)

상하 관절면이 만나서 후관절을 이룬다. 척추 움직임의 핵심 역할을 한다. 요추의 관절면, 흉추의 관절면, 경추의 관절면이 모두 달라서 각자 움직임의 특성도 다르다. 요추는 굴곡 ,신전에 유리한 면을 가지고 있으며, 흉추는 측굴, 경추는 회전 움직임에 유리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후관절 사이로도 신경의 가지들이 지나가는데 이곳에서의 염증자극을 후관절 증후군(facet joint syndrome)이라고 한다. 

 

척추관(vertebral canal)

척추관(vetebral canal)의 구조

추체(body)와 척추궁(vertebral arch)사이의 공간으로 척수가 통과한다. 이 터널 공간의 좁아짐으로 인한 병리적 상태를 척추관 협착증(spinal stenosis)라고 한다. 

 

추간판(intervertebral disk)

디스크(추간판)

디스크는 추체위에 얹혀져 있는 연골로서 추간 연골이라고도 불리운다.  바깥쪽의 단단한 섬유륜(섬유테 annulus fibrosus)과 섬유륜 안쪽의 말랑 말랑한 수핵(nucleus pulposus)로 구성되어 있다. 섬유륜의 손상, 수핵의 섬유륜 바깥쪽으로의 탈출에 의해 disk인성 통증이 발생된다. 

 

인대(ligament)

척추의 인대(요추부위)

척추 구조의 안정성을 위해 척추에는 여러 종류의 인대가 존재한다. 대표적인 인대인 후종인대(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는 척추 굴곡시 추간판 탈출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요추 부위에서는 그폭이 줄어들어 추간판 탈출시 후외측 탈출이 흔한 이유가 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