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해부학2 견관절 외전시 9가지 필수요소-기초해부학 어깨를 움직인다는 것은 어깨를 외전(벌림 )한다는 의미와 다름 없다. 기능 해부학적인 관점에서 정상적인 어깨 외전(벌림)시 일어나야하는 9가지 움직임 요소가 있다. 반드시 이 움직임의 문제가 통증과 인과성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기능 해부학적인 관점에서 결코 무시될수 없는 중요 요소들이다. 실제로 어깨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의 경우 이 정상적인 움직임이 깨져 있는경우가 흔하다. 기능적으로 좋은 견관절 외전(벌림) 움직임 요소 견관절 외전 1. 상완골두(위팔머리뼈)의 상방 구르기와 하방 미끄러짐 견관절 외전(벌림)시 관절와상완관절(오목위팔관절 GH joint)에서는 정상적인 구름과 미끄러짐이 일어나야한다. 견관절 외전(벌림)시 극상근(가시위근)에 의한 구르기만 발생된다면 견봉하 공간(봉우리아래 공간)에.. 2023. 4. 28. 기초 해부학-척추(spine)의 구조와 기능 그리고 척추 커브 척추(spine)는 사지의 시작부위 이기도 하며 사지 움직임의 기반이 된다. 척추의 안정성을 바탕으로 사지는 효율적으로 움직임일 수 있게 된다. 척추(spine)는 경추(목뼈cervical spin), 훙추(등뼈 thoracic spine), 요추(허리뼈 lumbar spine)로 구성되어 있다. 척추의 커브는 해부학적으로 이상적인 커브와 기능적인 커브로 나눌 수 있다. 척추 주변 구조물의 변형이나 손상은 척추의 근골격계 질환을 일으키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해부학적으로 이상적인 척추의 S자 커브 인간은 진화를 거치면서 척추의 S자 커브를 갖게 되었다. 척추의 S자 커브는 충격을 흡수하기기 좋은 형태로 인간의 움직임에서 스프링과 같은 역할을 하고 있다. 역학적으로 척추의 S자 척추 커브는 일자 형태의 척.. 2023. 4. 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