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리학, 질환4 천장관절 증후군 (sacroiliac joint syndrome): 골반통증 엉덩이통증 엉치통증.천장관절염 여성 골반 통증의 65%를 차지 한다고 알려진 천장관절 증후군. 천장관절 증후군은 갑작스런 외상, 장시간의 반복된 자세, 임신, 천장관절의 불안정 등의 이유로 천장관절 주변부에 염증이 발생된 질환을 말한다. 이 염증은 엉덩이 ,골반주위 통증을 일으키는데 일상생활에서 환자들은 앉아있을때 통증과 불편함을 호소하고는 한다. 염증성 질환(천장관절염)이라서 엉덩이와 허리 주변부로 통증을 일으키는 연관통 증세가 동반될수도 있다. 하지만 천장관절에 의한 연관통은 하지 원위부(무릎밑)로는 발생되지 않는다. 안타깝게도 천장관절 증후군(천장관절염)은 x-ray와 MRI에서는 특이점을 발견할 수 없다. 때문에 불필요한 영상의학적 평가는 오히려 골반통증의 원인을 허리로 지목하는 오진을 범하게 만들기도 한다. 천장관절 증후군의.. 2023. 4. 5. 척추 후관절 통증증후군(facet joint pain syndrome)- 허리 펼때 통증 제대로 알기 척추의 움직이는 윤활관절(synovial joint)인 후관절(facet joint 면관절, 돌기사이 관절)은 척추 움직임의 핵심이다. 상하 관절 돌기가 연결된 후관절면의 방향성 덕분에 인간은 척추를 움직일 수 있다. 이 후관절(facet joint)사이로는 감각 신경들이 지나가는데 이 신경들이 염증에 의해 자극받아 통증이 유발되는 질환을 후관절 증후군(facet joint syndrome)이라고 한다. 디스크와는 다르게 후관절 증후군(facet joint)의 차별화된 특징은 허리를 펼때(허리 신전시) 통증이다. 후관절(facet joint)이란? 후관절(facet joint)은 경추에서 요추까지 이어져 있으며 각 부위마다 움직임의 특성이 모두 다르다. 경추는 모든 움직임이 잘 일어나는 후관절면을 가지고.. 2023. 4. 1. 허리 척추관 협착증(lumbar spinal stenosis): 잘못된 진단의 진실 주로 노년 층에서 호발하는 질환인 허리 척추관 협착증(lumbar spinal stenosis)진단이 무분별하게 진단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허리 척추관 협착증(lumbar spinal stenosis) 진단 남발이 의사 선생님들의 무지에서 비롯 된것인지 의도적인 것인지는 알 수 없다. 다만 이런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잘못된 진단은 환자를 더 불안하고 두렵게 만든다. 잘못된 허리 협착증 진단은 환자가 자신의 신체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되었다는 인식을 강화시킴으로 여러가지 부작용을 낳는다. 환자는 자신의 신체를 무의식적?으로 더 약화시키며 결국에는 수술까지 진행되는 사례는 너무나도 흔하다. 요추 협착증(lumbar spinal stenosis)과 협착(narrowing) 은 완전히 다르다. 척추가 '협착(.. 2023. 4. 1. 족저근막염(plantar fascitis) 발바닥 통증에 대한 오해 족저근막염(plantar fascitis)은 발바닥 통증, 발바닥 뒤꿈치 통증의 원인으로 가장 흔하게 지목된다. 의사선생님들을 포함하여 족저근막염(plantar fascitis)에 관해 흔하게 오해하는 것중 하나가 있다. 바로 족저근막을 염증성 질환으로 바라보는 것이다. 발바닥의 염증이라서 주사를 맞아야한다?. 염증이라서 충격파 치료가 효과적이다? 연구에 따르면 90%의 환자가 보존적 치료로 발바닥통증, 뒤꿈치 통증에서 회복된다. 하지만 나머지 10%의 환자는 주사와 충격파 치료에도 별 반응하지 않는다. 대부분은 단기 통증 감소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 족저근막의 구조와 기능 족저근막은 발뒤꿈치, 발가락 , 발바닥 주변 근육의 섬유성 결합입니다. 주기능은 발바닥에 가해지는 하중, 충격을 흡수 분산하는 역할.. 2023. 3. 2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