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해부학2 견관절 외전시 9가지 필수요소-기초해부학 어깨를 움직인다는 것은 어깨를 외전(벌림 )한다는 의미와 다름 없다. 기능 해부학적인 관점에서 정상적인 어깨 외전(벌림)시 일어나야하는 9가지 움직임 요소가 있다. 반드시 이 움직임의 문제가 통증과 인과성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기능 해부학적인 관점에서 결코 무시될수 없는 중요 요소들이다. 실제로 어깨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의 경우 이 정상적인 움직임이 깨져 있는경우가 흔하다. 기능적으로 좋은 견관절 외전(벌림) 움직임 요소 견관절 외전 1. 상완골두(위팔머리뼈)의 상방 구르기와 하방 미끄러짐 견관절 외전(벌림)시 관절와상완관절(오목위팔관절 GH joint)에서는 정상적인 구름과 미끄러짐이 일어나야한다. 견관절 외전(벌림)시 극상근(가시위근)에 의한 구르기만 발생된다면 견봉하 공간(봉우리아래 공간)에.. 2023. 4. 28. 슬괵근 (뒤넙다리근 , 슬건근: hamstring 햄스트링) 기능 해부학 뒤쪽 허벅지 근육인 슬괵근(뒤넙다리근, 슬건근: hamstring)은 박막양근(반막근: semimembranous) , 반건양근(반힘줄근: semietendinous), 대퇴이두근(넙다리 두갈래근: biceps femoris)으로 구성된 대퇴 후면의 4개의 근육 그룹을 말합니다. 슬괵근(hamstring)그룹은 대퇴이두근의 단두를 제외하고 골반에서 무릎 아래 뼈까 부착되어 있습니다. 이때문에 슬괵근은 고관절의 움직임과 무릎의 움직임에 동시에 관여합니다. 슬괵근은 뛰기, 걷기등의 스포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근육으로서 스포츠 활동에 손상되는 경우가 매우 흔합니다. 또한 장시간의 좌식생활에서 발생된 엉덩이 통증 유발 근육중 하나 입니다. 슬괵근의 부착부 대퇴이두근 기시(이는곳 orgin) : 장두(long.. 2023. 4. 7.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