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능해부학8

견갑대( shoulder girdle)의 구조와 기능: 기능해부학 견갑대( shouldr girdle)는 쇄골(빗장뼈 clavicle), 견갑골(어깨뼈 scapular), 상완골(위팔뼈 humerus)로 구성되어 있다. 각뼈들은 서로 만나 견갑대의 4가지 관절을 구성한다. 1.견쇄관절(봉오리빗장 관절 acromiocalviculer joint . AC joint) 2.흉쇄관절(복장빗장 관절sternoclavicular joint . SC joint) 3.관절와상완관절(오목위팔 관절 glenohumeral joint . GH joint) 4.견흉관절(어깨가슴 관절scapulothoracic joint. ST joint) 이 4가지 관절들은 톱니바퀴처럼 서로가 서로에게 영향을 미친다. 밀기(push), 당기기(pull)처럼 흔한 어깨의 움직임 또한 견갑대를 구성하는 각관절.. 2023. 4. 10.
슬괵근 (뒤넙다리근 , 슬건근: hamstring 햄스트링) 기능 해부학 뒤쪽 허벅지 근육인 슬괵근(뒤넙다리근, 슬건근: hamstring)은 박막양근(반막근: semimembranous) , 반건양근(반힘줄근: semietendinous), 대퇴이두근(넙다리 두갈래근: biceps femoris)으로 구성된 대퇴 후면의 4개의 근육 그룹을 말합니다. 슬괵근(hamstring)그룹은 대퇴이두근의 단두를 제외하고 골반에서 무릎 아래 뼈까 부착되어 있습니다. 이때문에 슬괵근은 고관절의 움직임과 무릎의 움직임에 동시에 관여합니다. 슬괵근은 뛰기, 걷기등의 스포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근육으로서 스포츠 활동에 손상되는 경우가 매우 흔합니다. 또한 장시간의 좌식생활에서 발생된 엉덩이 통증 유발 근육중 하나 입니다. 슬괵근의 부착부 대퇴이두근 기시(이는곳 orgin) : 장두(long.. 2023. 4. 7.
관절 운동 형상학(arthrokinemetics): 관절면 움직임 관절 운동 형상학(arthrokinemetics)는 관절면의 움직임을 보는 학문을 말한다. 인체가 움직이기 위해서는 근육에 의해 관절의 움직임이 일어나야한다. 관절면의 움직임을 눈으로 볼 수는 없지만 관절면 사이에서는 여러 형태의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 관절면의 움직임 형태는 다양하지만 대체로 곡선의 형태가 있다. 관절면 사이에는 3가지 기본적임 움직임이 있다. 관절면 사이의 기본적인 움직임 1.관절면 움직임: 구름(Roll) 회전하는 관절면의 여러 점들은 이와 마주보고 있는 다른 관절면의 여러 점들과 만난다. 회전하는 굴렁쇠를 의 움직임과 같다. 2. 관절면 움직임: 미끄러짐(slide, glide) 한 관절면에 있는 한점이 마주보고 있는 다른 관절면에 있는 여러 점들과 만난다. 즉 한점이 여러면과 .. 2023. 3. 30.
기초운동학- 운동사슬(kinematic chain): 열린운동사슬(Okc) 닫힌운동사슬(ckc) 기초운동학에서도 인체의 움직임을 이해하기 위해서 중요한 운동형상학적 사슬!! 열린 운동사슬과 닫힌 운동사슬은 사지 원위부 끝이 지면이나 , 다른 구조에 고정이 되었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운동형상학적 용어이다. 열린운동사슬(okc)와 닫힌 운동 사슬(ckc)의 개념을 명확히 이해는 운동의 원리를 이해하는데 첫걸음이 될 수 있다. 열린운동사슬(open kinematic chain OKC) 열린 운동사슬: 운동 형상학적 사슬의 근위부위가 고정 되어 있고 원위 부위가 움직이는 상태를 말한다. 즉 몸통에 가까운 근위 부위가 고정되고 몸통에서 먼 원위부위가 움직이는 상태를 말한다. 예를 들어 태권도 에서 발차기를 할때 고관절을 포함한 하체는 OKC상태에 놓여 있다. 보행시에 공중에 떠있는 발, 축구공을 차는 발, .. 2023. 3. 30.
인체의 면: 시상면 관상면 횡단면 인체의 움직임은 시상면, 관상면, 횡단면이라고 불리우는 인체의 3가지 면에서 일어난다. 골 운동 형상학(osteokinematics)은 움직임의 모양을 보는 학문인 운동형상학(kinematics)에서도 가장 중요한 내용들이 포함된 학문이다. 학문이라하니 왠지 모를 거부감이 들겠지만 골 운동 형상학은 단지 뼈가 움직이는 모양을 보는 학문을 말한다. 이를 통해 인체의 움직임을 이해 할 수 있고, 움직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개념 정리가 되어 있어야하는 내용이다. 시상면(sagittal plane) =정중면(median plane) 시상면은 신체를 좌우로 나눈 면을 말한다. 시상면에서 일어나는 움직임은 flexion(굴곡, 굽힘), extension(신전, 폄)이다. 즉 움직임이 앞뒤, 위아래(아래 위).. 2023. 3. 29.
기초 해부학 용어 정리( 방향과 위치) 방향과 위치에 대한 해부학 용어는 아주 기본적이고 기초적인 약속과 같다. 해부학 용어 중에서도 기초적인 내용이지만 이 기초를 모를때 다음 공부로의 진행이 되지 않는다. 너무 기초적인 해부학 용어들 이라서 해부학을 처음 공부하시는 분들만 읽어보시길 추천한다. 상방(siperior) = 머리쪽 (cranial) = cephaled 어떤 구조가 머리쪽, 위쪽에 가깝게 놓여 있거나 그 방향을 의미한다. 하방(inferior)=꼬리쪽(caudal) 어떤 구조가 머리쪽, 아래쪽에 가깝게 놓여 있거나 그 방향을 의미한다. 전방(anterior)= 복측(ventral) 어떤 구조가 앞쪽에 놓여 있거나 그 방향을 의미한다 후방(posterior)=배측(dorsal) 어떤 구조가 신체의 뒤쪽에 놓여 있거나 그 방향을 의미.. 2023. 3. 29.
근골격계 구조 : 뼈 관절 연골 인대 힘줄 근육 근막 대표적으로 근골계를 구성하는 여러 구조에는 뼈, 관절, 연골, 인대, 힘줄, 근육, 근막이 있다. 근골격계는 신체의 형태, 신체운동, 자세유지. 호흡운동, 배분, 배뇨, 혈액순환, 체열 생상, 음식물 이동 등의 일반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다. 각 구조들은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며 각 구조의 손상이나, 각 구조에 발생된 질환을 통칭해 근골격계 질환이라고 말한다. 근골격계 구조는 인간이 노화를 겪으며 자연스레 구조의 퇴행을 함께 겪는다. 다만 노화는 반드시 통증과 비례하지는 않는다. 근골격계 구조 : 뼈(bone) 뼈는 총206개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머리, 몸통, 상지, 하지로 나눌 수 있다. 뼈는 몸의 형태를 이루는 기둥, 내부 장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뼈는 움직이는 동안 뼈를 둘러싼 조.. 2023. 3. 29.
전거근(앞톱니근: serratus anterior)운동 전거근은 모든 어깨 통증에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어깨 통증의 핵심 근육이다. 전거근은 어깨 안정화의 핵심 근육중 하나이며, 팔을 들어올리기 위해서 필수 적인 견갑골 상방회전의 주동근이다. 정상적인 견갑골 움직임 대부분에 관여하는 전거근은 근막적으로도 외복사근과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몸통운동(코어)이 어깨 치료에서 중요한 이유를 설명하게 만든다. 전거근(앞톱니근: serratus anterior)) 부착점과 신경지배 기시(orgin) : 전외측 흉벽에서 늑골 1~8 정지(insersion) : 어깨뼈 안쪽모서리의 앞면(견갑골 내측연 하각) 신경지배: 긴가슴신경(장흉신경: long thoracic N) 전거근(앞톱니근: serratus anterior) 움직임(작용) 견갑골의 전인( scapular .. 2023. 3.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