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8

견관절 외전시 9가지 필수요소-기초해부학 어깨를 움직인다는 것은 어깨를 외전(벌림 )한다는 의미와 다름 없다. 기능 해부학적인 관점에서 정상적인 어깨 외전(벌림)시 일어나야하는 9가지 움직임 요소가 있다. 반드시 이 움직임의 문제가 통증과 인과성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기능 해부학적인 관점에서 결코 무시될수 없는 중요 요소들이다. 실제로 어깨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의 경우 이 정상적인 움직임이 깨져 있는경우가 흔하다. 기능적으로 좋은 견관절 외전(벌림) 움직임 요소 견관절 외전 1. 상완골두(위팔머리뼈)의 상방 구르기와 하방 미끄러짐 견관절 외전(벌림)시 관절와상완관절(오목위팔관절 GH joint)에서는 정상적인 구름과 미끄러짐이 일어나야한다. 견관절 외전(벌림)시 극상근(가시위근)에 의한 구르기만 발생된다면 견봉하 공간(봉우리아래 공간)에.. 2023. 4. 28.
팔꿈치 통증 체외 충격파, 주사 100번 맞아도 소용 없는 분들 필독 (테니스 엘보우, 골퍼 엘보우, 외측상과염, 내측상과염) 팔꿈치 통증에서 가장 흔하게 진단되는 진단명으로 테니스 엘보우, 골퍼 엘보우가 있습니다. 손가락, 손목을 펴주는 근육들의 부착 부위(팔꿈치 바깥쪽) 통증 시에는 외측상과염(테니스 엘보우)진단이 나오는 것이 흔하며 손가락, 손목을 굽혀주는 근육들의 부착부위(팔꿈치 안쪽) 통증 시에는 내측 상과염(골퍼 엘보우)진단이 나오는 경우가 흔합니다. 병원에서의 치료는 주로 체외 충격파(ESWT) 와, 스테로이드를 주사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반복된 체외 충격파 치료와 주사치료에 호전이 없는 환자 또한 많은데요.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이제는 그만 실패한 치료를 반복하지 마세요!!! 팔꿈치 통증 치료에 실패하는 이유- 테니스 엘보우(외측상과염)와 골퍼 엘보우(내측 상과염)은 팔꿈치 염증이 아니다.과거 의사선생님.. 2023. 4. 20.
견갑대( shoulder girdle)의 구조와 기능: 기능해부학 견갑대( shouldr girdle)는 쇄골(빗장뼈 clavicle), 견갑골(어깨뼈 scapular), 상완골(위팔뼈 humerus)로 구성되어 있다. 각뼈들은 서로 만나 견갑대의 4가지 관절을 구성한다. 1.견쇄관절(봉오리빗장 관절 acromiocalviculer joint . AC joint) 2.흉쇄관절(복장빗장 관절sternoclavicular joint . SC joint) 3.관절와상완관절(오목위팔 관절 glenohumeral joint . GH joint) 4.견흉관절(어깨가슴 관절scapulothoracic joint. ST joint) 이 4가지 관절들은 톱니바퀴처럼 서로가 서로에게 영향을 미친다. 밀기(push), 당기기(pull)처럼 흔한 어깨의 움직임 또한 견갑대를 구성하는 각관절.. 2023. 4. 10.
슬괵근 (뒤넙다리근 , 슬건근: hamstring 햄스트링) 기능 해부학 뒤쪽 허벅지 근육인 슬괵근(뒤넙다리근, 슬건근: hamstring)은 박막양근(반막근: semimembranous) , 반건양근(반힘줄근: semietendinous), 대퇴이두근(넙다리 두갈래근: biceps femoris)으로 구성된 대퇴 후면의 4개의 근육 그룹을 말합니다. 슬괵근(hamstring)그룹은 대퇴이두근의 단두를 제외하고 골반에서 무릎 아래 뼈까 부착되어 있습니다. 이때문에 슬괵근은 고관절의 움직임과 무릎의 움직임에 동시에 관여합니다. 슬괵근은 뛰기, 걷기등의 스포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근육으로서 스포츠 활동에 손상되는 경우가 매우 흔합니다. 또한 장시간의 좌식생활에서 발생된 엉덩이 통증 유발 근육중 하나 입니다. 슬괵근의 부착부 대퇴이두근 기시(이는곳 orgin) : 장두(long.. 2023. 4. 7.
장요근(엉덩 허리근: iliopsoas) 기능해부학 장요근(엉덩허리근: iliopsoas)은 대요근(큰허리근: psoas major)과 장골근(엉덩근: iliacus: 엉덩근) 을 합친 근육을 말한다. 흔히 장요근(엉덩허리근)은 고관절을 굴곡 시키고 골반을 전방경사(anterior tilt)시키는 근육으로 알려져 왔다. 하지만 이보다 더 중요한 장요근(엉덩허리근)의 기능은 따로 있다. 바로 요추와 고관절의 안정화다. 장요근(엉덩허리근)은 요방형근(허리 네모근: quadratus lumborum)과 함께 횡격막(가로막 diaphrgm)에 연결되어 있어 몸통 안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후면의 심부기립근(심부 척추 세움근)과 함께 척추를 세워주는 기둥 지지줄(guy wire)의 역할을 한다. 또한 장요근(엉덩허리근)은 고관절 굴곡시 몸통을 안정화 시키.. 2023. 4. 6.
천장관절 증후군 (sacroiliac joint syndrome): 골반통증 엉덩이통증 엉치통증.천장관절염 여성 골반 통증의 65%를 차지 한다고 알려진 천장관절 증후군. 천장관절 증후군은 갑작스런 외상, 장시간의 반복된 자세, 임신, 천장관절의 불안정 등의 이유로 천장관절 주변부에 염증이 발생된 질환을 말한다. 이 염증은 엉덩이 ,골반주위 통증을 일으키는데 일상생활에서 환자들은 앉아있을때 통증과 불편함을 호소하고는 한다. 염증성 질환(천장관절염)이라서 엉덩이와 허리 주변부로 통증을 일으키는 연관통 증세가 동반될수도 있다. 하지만 천장관절에 의한 연관통은 하지 원위부(무릎밑)로는 발생되지 않는다. 안타깝게도 천장관절 증후군(천장관절염)은 x-ray와 MRI에서는 특이점을 발견할 수 없다. 때문에 불필요한 영상의학적 평가는 오히려 골반통증의 원인을 허리로 지목하는 오진을 범하게 만들기도 한다. 천장관절 증후군의.. 2023. 4. 5.
기초 해부학-척추(spine)의 구조와 기능 그리고 척추 커브 척추(spine)는 사지의 시작부위 이기도 하며 사지 움직임의 기반이 된다. 척추의 안정성을 바탕으로 사지는 효율적으로 움직임일 수 있게 된다. 척추(spine)는 경추(목뼈cervical spin), 훙추(등뼈 thoracic spine), 요추(허리뼈 lumbar spine)로 구성되어 있다. 척추의 커브는 해부학적으로 이상적인 커브와 기능적인 커브로 나눌 수 있다. 척추 주변 구조물의 변형이나 손상은 척추의 근골격계 질환을 일으키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해부학적으로 이상적인 척추의 S자 커브 인간은 진화를 거치면서 척추의 S자 커브를 갖게 되었다. 척추의 S자 커브는 충격을 흡수하기기 좋은 형태로 인간의 움직임에서 스프링과 같은 역할을 하고 있다. 역학적으로 척추의 S자 척추 커브는 일자 형태의 척.. 2023. 4. 4.
사타구니 통증: 고관절 충돌 증후군(대퇴 비구 충돌 증후군: femoroacetabular impingment. FAI. 대퇴전방활주증후군) 제대로 알기 고관절 통증의 대표적 원인으로 지목되는 대퇴비구 충돌증후군(femoroacetabular impingment syndrome FAI)=고관절 충돌 증후군(hip impingment syndrome)은 단순하게 구조적 관점으로 이해하자면 가짜뼈가 돋아나 고관절에서 부딪힘이 일어나는 질환을 말한다. 고관절 충돌이 지속되면 비구순 파열(labral tear)로 이어진다고 익히 알려져 있다. 하지만 실제 고관절에 통증이 없는 건강한 사람에게서도 X-ray, MRI 상의 문제는 흔하게 보이는 경우가 많다. 고관절 충돌 증후군 환자는 주로 고관절 전면부(사타구니)쪽의 통증을 호소하며 때로는 고관절에서 소리, 찝힘, 허리, 엉덩이 ,허벅지의 통증을 호소하기도한다. 고관절을 움직일때 통증이 발생되고 움직임 자체가 제한.. 2023. 4. 3.
척추 후관절 통증증후군(facet joint pain syndrome)- 허리 펼때 통증 제대로 알기 척추의 움직이는 윤활관절(synovial joint)인 후관절(facet joint 면관절, 돌기사이 관절)은 척추 움직임의 핵심이다. 상하 관절 돌기가 연결된 후관절면의 방향성 덕분에 인간은 척추를 움직일 수 있다. 이 후관절(facet joint)사이로는 감각 신경들이 지나가는데 이 신경들이 염증에 의해 자극받아 통증이 유발되는 질환을 후관절 증후군(facet joint syndrome)이라고 한다. 디스크와는 다르게 후관절 증후군(facet joint)의 차별화된 특징은 허리를 펼때(허리 신전시) 통증이다. 후관절(facet joint)이란? 후관절(facet joint)은 경추에서 요추까지 이어져 있으며 각 부위마다 움직임의 특성이 모두 다르다. 경추는 모든 움직임이 잘 일어나는 후관절면을 가지고.. 2023. 4. 1.
허리 척추관 협착증(lumbar spinal stenosis): 잘못된 진단의 진실 주로 노년 층에서 호발하는 질환인 허리 척추관 협착증(lumbar spinal stenosis)진단이 무분별하게 진단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허리 척추관 협착증(lumbar spinal stenosis) 진단 남발이 의사 선생님들의 무지에서 비롯 된것인지 의도적인 것인지는 알 수 없다. 다만 이런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잘못된 진단은 환자를 더 불안하고 두렵게 만든다. 잘못된 허리 협착증 진단은 환자가 자신의 신체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되었다는 인식을 강화시킴으로 여러가지 부작용을 낳는다. 환자는 자신의 신체를 무의식적?으로 더 약화시키며 결국에는 수술까지 진행되는 사례는 너무나도 흔하다. 요추 협착증(lumbar spinal stenosis)과 협착(narrowing) 은 완전히 다르다. 척추가 '협착(.. 2023. 4.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