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증과학

이상근(궁둥구멍근: piriformis)과 이상근 증후군(piriformis syndrome)원인과 치료 제대로 알기

by 직립보행자 2023. 3. 28.

이상근(궁둥구멍근: piriformis)은 심부의 고관절 외회전(가쪽 돌림) 근육중 하나이다. 이 근육은 상부와 하부를 통해 천골 신경총의 중요한 가지들(branch of sacral plexus)이 지나간다.  이상근 증후군(piriformis syndrome)은 엉덩이통증, 하지 연관통 증상을 주특징으로 한다.  흔히 알려진 이상근 스트레칭은 통증을 유발하는 자세로서 이상근 증후군 환자에게 통증 민감도를 증가 시킬 수 있다. 

 

심부 고관절 외회전근군(고관절 가쪽 돌림근군deep six)

 

이상근(궁둥구멍근: piriformis) 작용(action)

이상근(궁둥구멍근: piriformis)의 경우 고관절의 신전 상태에서는 외회전에 관여하는 근육이다. 하지만 고관절이 90도 굴곡된 상태에서는 내회전과 외전근육으로 그 기능이 바뀐다.

 

이상근(궁둥구멍근: piriformis)의 부착

 

이는곳(orign 기시): 엉치뼈의 앞면(anterior sacrum)

닿는곳(insertion 정지): 큰돌기( greater trochanter 대전자)

신경지배: 엉치신경 얼기의 가지(branch of  sacral plexus 천골 신경총의 가지 )

S1, S2 (제1 또는 제2천골 신경 및 제2천골신경의 전지에서 나온 한두 개의 조그마한  가지들이 분포한다.)

 

이상근 증후군(piriformis syndrome) 

 

이상근에 의한 신경자극

신경, 혈관, 근육의 압박이나 자극으로 인해 엉덩이 통증과 하지로의 연관통을 유발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상근(궁둥구멍근: piriformis)으로 지나가는 좌골신경(sciatica nerve), 천골신경의 가지(branch of sacral plexus)들이  자극 받으면 엉덩이 부위와 하지로 연관통 증상을 유발 할 수 있다. 이상근(궁둥구멍근: piriformis)의 단축보다는 이상근(궁둥구멍근 : piriformis)의 신장성(늘어나는 방향) 고정으로 인한 경우가 많다.  이상근을 스트레칭하는 고관절 굴곡 + 외회전 자세는 통증을 유발하는 자세이기 때문에 증상을 악화 시킬 수 있다.  실제 임상에서 이상근증후군과 허리 관련 질환의 감별을 위해 이상근 스트레칭 자세로 통증을 유발 시켜 진단을 하기도한다.   최근은 이상근 단독적으로 신경을 자극한다고 보기 어렵다고 하여 deep glutteal syndrome으로 불리우고 있다. 특히 앉아 있을때 통증이 심하고 하지로의 연관통증을 호소하기도 한다.  걷거나 운동시에도 통증이 증가하기도 하며 다리를 절기도 한다. 

이상근증후군(piriformis syndrome)의 발생 원인

 

이상근 신장 자세

1.장시간 좌식에서의 좋지 않은 자세로 인해 이상근 주의의 근육들에 손상 혹은 예민도를 높히는 것으로 보인다.  일상생활에서 미세외상이  지속되면  주로 엉덩이 편측으로 손상이 발생된다.  간혹 양측으로 손상이 되기도 한다. 

2. 한쪽의 하지로 체중을 과하게 지지한 상태에서 갑작스런 고관절 회전 움직임(스포츠)에서 손상될 수 있다. 

 

이상근증후군의 테스트.  평가 (통증유발검사)

1.hip flexion+adduction+internal rotation (supine position)

2.Palpation test

3.active hip external rotation test (side lying position)

4.hip internal rotation test (sitting position)

 

이상근증후군 치료

통증이 유발되는 좌식생활을 당분간 피해주고, 둔부의 근육을 활성화 시켜주는 운동을 병행하면  대부분 3개월 이내에 회복된다. 하지만 일부 환자에게서는  증상이 장기간 지속되는 경우도 있다. 통증이 지속되는 원인으로는 통증 민감도를 유지시키는 일상생활 자세의 지속, 수면 장애, 영양 부족, 장기간 스트레스, 둔부 근육들의 약화를 들 수 있다.  이 요소들이 결합되면 통증이 쉽게  회복되지 못하고 장기간 지속될 수 있다. 

일상생활의 자세수정

일상생활에서 가장 중요한  수정은 앉는 자세이다. 앉아서 다리를 꼬는 습관, 의자 위에서 양반다리로 앉는 습관,  앉아서 다리를 모으로 습관(동양 여성들의 특징)는 이상근 증후군을 장기간 지속 시킬 수 있다. 앉아 있을때는 다리를 벌리고 고관절의 높이가 무릎의 높이보다 높은 자자세를 추천한다.

운동을 통한 치료

지속되는 엉덩이 통증과 연관통에 실제 가장 좋은 치료는 운동 치료다. 엉덩이 통증에 도움이되는  아래의 운동을 단계별로 진행하기를 추천한다. 물론 환자의 통증 민감도와 부하 내성을 고려하여 섬세한 진행이 필수다.  

1.clamshell exercise

클램쉘 운동

 

2.single leg bridge exercise(한발 브릿지 운동)

싱글렉 브릿지 운동

 

3.single leg dead lift

싱글렉 데드리프트 운동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