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병리학, 질환

족저근막염(plantar fascitis) 발바닥 통증에 대한 오해

by 직립보행자 2023. 3. 28.

족저근막염(plantar fascitis)

족저근막염(plantar fascitis)은 발바닥 통증, 발바닥 뒤꿈치 통증의 원인으로 가장 흔하게 지목된다. 의사선생님들을 포함하여 족저근막염(plantar fascitis)에 관해 흔하게 오해하는 것중 하나가 있다. 바로 족저근막을 염증성 질환으로 바라보는 것이다.  발바닥의 염증이라서 주사를 맞아야한다?. 염증이라서 충격파 치료가 효과적이다? 연구에 따르면  90%의  환자가  보존적 치료로  발바닥통증, 뒤꿈치 통증에서 회복된다. 하지만 나머지 10%의 환자는 주사와 충격파 치료에도 별 반응하지 않는다. 대부분은 단기 통증 감소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  

 

족저근막의 구조와 기능

 

족저근막은 발뒤꿈치, 발가락 , 발바닥 주변 근육의 섬유성 결합입니다.  주기능은 발바닥에 가해지는 하중, 충격을 흡수 분산하는 역할입니다. 또한 아킬레스건과 연결성을 가지고 있어서 발바닥 통증, 뒷꿈치 통증에도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족저근막염(plantar fascitis)의 증상

 

족저근막염 압통부위

족저 근막염의 특징적 증상으로는 보행을 처음 시작할때 발바닥통증입니다. 환자분들은 아침에 첫발을 디딜때나, 앉아 있다가 걸음을 시작할때 발바닥통증, 뒷꿈치 통증을 호소 하고는 합니다.  맨발로 걸을때 발바닥통증이 심해지기 때문에 집에서도 실내화나 두꺼운 양말을 신는 경우가 흔합니다. 

 

족저근막염(plantar fascitis) 테스트,  평가 

 

족저근막염 테스트 windlass test

객관적인 평가인 windlass test를 통해 족저근막염을 진단 내릴 수 있습니다. windlass test: 체중을 실은 상태에서 엄지 발가락을 신전하면 평소 증상이 재현됩니다.  기능적인 평가로 까치발(heel raise)시 증상이 재현될 수 있습니다. 특힌 한발 heel raise에서 증상이 재현 되고는 합니다. 

 

족저근막염(plantar fascitis)에 대한 오해

연구를 통해 오래전부터 족저근막은 염증성 질환이 아니다는 증거들이 발표 되었습니다.  미세현미경을 통한 연구들에 따르면 발바닥 통증 환자의 족저근막에서 염증세포를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이때문에 세계적으로도 족저근막염(plantar fascitis)이라는 용어보다는 족저근막병증(plantar fascicopathy)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를 권고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 한국의 의료 현장에서는 이것들이 무시되면서 여러가지 오해가 발생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염증이기 때문에 주사를 맞아야 한다. 휴식을 취해야 한다. 충격파를 해야한다??

 

족저근막병증(plantar fascicopathy)의 원인

족저근막병증(plantar fascicopathy)발생의 위험인자로는 반복적인 외상, 갑작스런 달리기, 장시간의 보행, 오랜시간 서서일하는 직업군들 처럼 과상용이 위험 인자로  알려져 왔습니다. 하지만 과사용 뿐만 아니라 체질량 지수가 높은 저활동성의 사람들에게서도 유병률이 높다는 연구가 존재합니다.  과사용이든 저사용이든 결국 환자의 족저 근막이 자신의 하중을 분산하고 흡수하는 능력이 감소 하였기 때문에 발생했을 가능성이 가장 높습니다. 

 

족저근막병증(plantar fascicopathy)의 예후

족저근막병증(plantar은 보존적 치료의 성공률이 높은 질환입니다. 여러 연구들을 통해서 80%의 확률로 1~2년이내 증상이 자연 해결된다고 보고 되었습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일부 환자에게서는 15년 이상 증상이 지속되기도 합니다. 회복되었다가 다시 재발되는 경우도 흔한 질환입니다.  가장 좋지 않은 예후에 대한 인자로 양쪽 발박닥 통증이 동시에 있는 경우에 회복까지 훨씬 더 많은 시간이 소요 되었습니다. 

 

만성 발바닥 통증 치료에 대한 오해

1.마사지

족저근막염 마사지

만성 발바닥 통증 환자에게  마사지는 단기 통증 감소 이상을 기대하기 힘듭니다. 마사지는 족저근막의 기능을  회복시킬 수는 없습니다. 

2.주사치료

족저근막염 주사치료

국소 스테로이드 주사는 통증감소에 단기적으로 효과가 있는것은 분명합니다. 하지만 반복적인 스테로이드 주사는 족저근막을 파열 시킬 위험이 높습니다. 

3.침

족저근막염 침치료

침을 맞고 통증이 감소되는 듯한 느낌이 들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 단기 통증감소에 머무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 발바닥 통증이 오래된 환자일 수록  침은 거의 반응 하지 않습니다. 

4.스트레칭

족저근막염 스트레칭(연구 논문)

연구에 따르면 스트레칭은 다른 치료 비해 이점이 없음으로 밝혀졌습니다. 

 

재활 운동 치료

여러 연구를 통해 재활운동은 다른 치료에 비해 통증감소에 효과 적이 었습니다.  회복까지는 평균적으로 4~6정도 소요됩니다.

족저근막염에 효과적인 heel raise

족저근막병증에 가장 먼저 시도해 볼 만한 재활운동은 heel raise입니다. heel rsise운동은 족저근막의 기능을 회복시킬 수 있는 좋은 운동입니다. 초기에는 양발로 heel raise운동을 시작하고, 점차 한발 heel raise운동으로 진행하여야 합니다. 인간 보행에서 한발서기 구간이 85%나 되기 때문에 한발로 수행하는 운동까지 도달하지 못한다면 재활운동의 효과는 미미 할 수 있습니다. 한발 heel raise 운동이 무리없이 가능하게 된다면 다음 단계로 진행 하여야합니다. 계단끝에 서서 뒤꿈치를 계단 밑까지 쭉~~내려주면서  원심성 활성을 자극하는 방식으로 운동을 진행해 주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