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거근은 모든 어깨 통증에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어깨 통증의 핵심 근육이다. 전거근은 어깨 안정화의 핵심 근육중 하나이며, 팔을 들어올리기 위해서 필수 적인 견갑골 상방회전의 주동근이다. 정상적인 견갑골 움직임 대부분에 관여하는 전거근은 근막적으로도 외복사근과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몸통운동(코어)이 어깨 치료에서 중요한 이유를 설명하게 만든다.
전거근(앞톱니근: serratus anterior)) 부착점과 신경지배

기시(orgin) : 전외측 흉벽에서 늑골 1~8
정지(insersion) : 어깨뼈 안쪽모서리의 앞면(견갑골 내측연 하각)
신경지배: 긴가슴신경(장흉신경: long thoracic N)
전거근(앞톱니근: serratus anterior) 움직임(작용)
견갑골의 전인( scapular protraction), 견갑골 외전(벌림 scapular abduction), 견갑골 상방회전(scapular upward rotation), 견갑골 내측연 흉벽에 고정
전거근(앞톱니근: serratus anterior) 중요사항
전거근은 어깨를 움직이는데 필수적인 상방회전의 주동근으로 작용한다. 하지만 이 근육이 문제가 생기더라도 해당부위에 직접적 통증을 발생시키는 경우는 드물다. 그보다 전거근의 문제시 정상적인 어깨 움직임에 장애서 생기며 어깨 통증을 발생시키게 된다. 전거근의 전면부는 견갑하근의 기시부위와 인접해 있어 어깨 외회전의 문제를 발생 시킬 수 있다. 또한 외복사근과 근막적 연결을 가지고 있어서 몸통 근육들의 약화가 어깨통증을 발생시키는 이유가 되기도 한다. 또한 목의 문제를 가지고 있는 환자들 또한 견갑골이 상방회전 제한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상방회전근인 전거근을 훈련했을때 목의 통증이 감소하는 경우가 많다.
전거근(앞톱니근: serratus anterior)운동(전거근 고립운동)
위의 내용에서 알 수 있듯이 전거근의 정상화는 어깨 통증환자의 회복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때문에 많은 물리치료사와, 운동지도 관련 종사자들이 전거근만을 타겟으로한 고립운동을 시행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는 너무 획일적 사고방식이다. 전거근이 아무리 어깨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하더라도 전거근 단독으로는 단하나의 어깨 움직임도 만들어 낼 수가 없다. 전거근의 해부학적 움직임 또한 다른 근육들이 정상적으로 협력한다는 가정하에 정의 내릴 수 있는 교과서적 움직임일 뿐인다.
전거근(앞톱니근: serratus anterior) 운동(전거근 강조운동, 협응)



인체의 모든 움직임중 단하나의 근육만으로 작동되는 움직임은 없다. 마찬가지로 전거근을 조금더 강조하는 운동은 있을 수 있지만 전거근만을 타겟하는 운동은 존재하지 않는다. 김빠지는 결론 같지만 어깨의 기능적 움직임을 회복시키기 위한 모든 운동이 전거근 운동이 된다. press에서든 row에서든 전거근은 잘 작동된다. 하지만 전거근을 조금더 강조하고 싶을때는 CKC운동을 추천한다. 연구에 따르면 OKC운동 보다 CKC 운동에서 전거근은 유의미하게 더 활성화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플랭크 또한 좋은 전거근 강조 운동이 된다. 네발기기 자세(지지측)에서의 버드독 또한 좋은 전거근 운동이 될 수 있다.
'기능해부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절 운동 형상학(arthrokinemetics): 관절면 움직임 (0) | 2023.03.30 |
---|---|
기초운동학- 운동사슬(kinematic chain): 열린운동사슬(Okc) 닫힌운동사슬(ckc) (0) | 2023.03.30 |
인체의 면: 시상면 관상면 횡단면 (0) | 2023.03.29 |
기초 해부학 용어 정리( 방향과 위치) (0) | 2023.03.29 |
근골격계 구조 : 뼈 관절 연골 인대 힘줄 근육 근막 (0) | 2023.03.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