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능해부학

기초운동학- 운동사슬(kinematic chain): 열린운동사슬(Okc) 닫힌운동사슬(ckc)

by 직립보행자 2023. 3. 30.

기초운동학에서도 인체의 움직임을 이해하기 위해서 중요한 운동형상학적 사슬!! 열린 운동사슬과 닫힌 운동사슬은 사지 원위부 끝이 지면이나 , 다른 구조에 고정이 되었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운동형상학적 용어이다.  열린운동사슬(okc)와 닫힌 운동 사슬(ckc)의 개념을 명확히 이해는 운동의 원리를 이해하는데 첫걸음이 될 수 있다.  

 

열린운동사슬(open kinematic chain OKC)

 

열린운동사슬(OKC)

 

열린 운동사슬: 운동 형상학적 사슬의  근위부위가 고정 되어 있고 원위 부위가 움직이는 상태를 말한다.  즉 몸통에 가까운 근위 부위가 고정되고 몸통에서 먼 원위부위가 움직이는 상태를 말한다.  예를 들어 태권도 에서 발차기를 할때 고관절을 포함한 하체는 OKC상태에 놓여 있다.  보행시에 공중에 떠있는 발, 축구공을 차는 발, 테니스 라켓을 휘두르는 팔, 머리를 빗는 손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대부분의 웨이트 운동이 열린 운동사슬(okc)이다. 

 

닫힌운동사슬(closed kinematic chain CKC)

 

닫힌운동사슬(CKC)

닫힌 운동사슬이란 운동 형상학적 사슬의 원위부위가 고정 되어 있고 근위부가 움직이는 상태를 말한다. 즉 몸통에서 먼 원위부위가 고정 되어 있고 몸통에서 가까운 근위부위가 움직이는 상태를 말한다. 예를 들어 스쿼트시 고관절은 CKC 상태에 놓여 있다.  푸쉬업, 플랭크, 코어운동을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지지하는 쪽에서 CKC움직임이 일어난다. 재활운동에서는 닫힌운동사슬(ckc)를 선호한다. 

 

열린운동사슬(OKC), 닫힌 운동사슬(CKC)에 대한 고찰

 

통증을 치료를 목적으로이나 , 재활 초기에는 닫힌운동사슬 (CKC)운동사슬이 열린운동사슬(okc)보다 장점이 많다. 

1.닫힌운동사슬(ckc)는 관절의 압박 상태에서 행해지기 때무에 관절 주변 수용기들을 자극하여 관절의 안정성을 증가 시킬 수 있다.

2.닫힌운동사슬(ckc)는 지면과 접촉을 통해 고유수용성 피드백을 받을 수 있으며 관절 주변근의 활성화를 유도 할 수 있다.  

3.닫힌운동사슬(ckc)는 움직임의 선택권을 제한시켜 운동 패턴을 강제할 수 있다. 

퍼포먼스 향상과 기능적 훈련의 진행(progrssion)을 위해서는 반드시 열린운동사슬(okc)까지 도달 하여야한다.  인간 움직임은 결국 근위부의 안정성을 바탕으로 원위를 움직이는 것으로 정의 내릴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재활운동은 닫힌 운동사슬 (CKC)로 시작하여 열린 운동 사슬(OKC)로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충분한 근위부의 안정성을 가지고 있는 환자, 고객이라면 OKC운동을 바로 진행도 가능하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