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쪽 허벅지 근육인 슬괵근(뒤넙다리근, 슬건근: hamstring)은 박막양근(반막근: semimembranous) , 반건양근(반힘줄근: semietendinous), 대퇴이두근(넙다리 두갈래근: biceps femoris)으로 구성된 대퇴 후면의 4개의 근육 그룹을 말합니다. 슬괵근(hamstring)그룹은 대퇴이두근의 단두를 제외하고 골반에서 무릎 아래 뼈까 부착되어 있습니다. 이때문에 슬괵근은 고관절의 움직임과 무릎의 움직임에 동시에 관여합니다. 슬괵근은 뛰기, 걷기등의 스포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근육으로서 스포츠 활동에 손상되는 경우가 매우 흔합니다. 또한 장시간의 좌식생활에서 발생된 엉덩이 통증 유발 근육중 하나 입니다.
슬괵근의 부착부
대퇴이두근
기시(이는곳 orgin) : 장두(long head)- 좌골결절(궁둥뼈 결절 ischial tuberosity), 단두(short head)- 대퇴골 조선(linea aspera)
정지(닿는곳, 원위 부착부 insersion) : 비골두(head of fibula)
반막양근(반막근 semimembranosus)
기시(이는곳 orign) : 좌골결절(궁둥뼈 결절 ischial tuberosity)
정지(닿는곳 insersion) : 경골과 후내측면 (posterior medial tibial condyle)
반건양근(반힘줄근 semitendinosus)
기시(이는곳 orign) : 좌골결절(궁둥뼈 결절 ischial tuberosity)
정지(닿는곳 insersion) : 경골 전상부 (anterior proximal tibial shaft)
신경지배:
좌골신경(sciatic nerve)
슬괵근(뒤넙다리근, 슬건근 hamstring)의 움직임
대퇴이두근(넙다리 두갈래근: biceps femoris)
장두 (long head) : hip extension, knee flexion, knee external rotation
단두(short head): knee flexion, knee external rotation
반막양근(반막근 semimembranosus), 반건양근(반힘줄근 semitendinosus),
hip extension, knee flexion, knee internal rotation
슬괵근(뒤넙다리근, 슬건근 hamstring)관련 통증
슬괵근 좌상(햄스트링 좌상 hamstring strain)
슬괵근 좌상(햄스트링 좌상 hamstring strain)은 운동선수, 스포츠를 즐기는 일반인들에게서 흔하게 접할 수 있는 근육의 부상을 말한다. 햄스트링 좌상이라고 불리기도 하며 흔히 ' 햄스트링 올라왔다'고 표현되기도 한다. 발차기, 달리기, 과도한 스트레칭등에서 주로 손상된다. 대부분의 경우 12주 이내에는 손상된 근육이 자연 회복되는 것이 정상적이다.
좌골 점액낭염 (좌골 활액낭염 ischial bursits)
좌골 점액낭염(좌골 활액낭염 ischial bursits)은 딱딱한 표면에 장시간 앉아 있는 직업의 사람들에게 주로 진단 내려진다. 좌골 점액낭염은 햄스트링의 근위 부착부위인 좌골 결절부위의 점액낭에 염증이 발생된 상태를 말한다. 염증은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감소 하여 통증도 감소한다. 하지만 일부환자는 점액낭을 자극하는 일상생활, 햄스트링의 기능 감소가 지속되면 통증도 만성화 될 수 있다.
슬괵근(뒤넙다리근, 슬건근, hamstring) 치료
흔히 알려진 바로 햄스트링은 과도하게 활성되며 짧아지는 근육으로만 알려져있다. 이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햄스트링을 스트레칭하거나 마사지로 풀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햄스트링 좌상, 만성 좌골 점액낭염, 햄스트링 건병증의 경우를 포함하여 근육을 늘려주고 풀어주는 방식의 치료와 운동은 단기 효과에 머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햄스트링의 기능 감소는 햄스트링의 짧아짐(단축)때문이 아니라 햄스트링이 늘어나는 방향으로의 기능이 약해져있기 때문이다.
많은 연구를 통해서도 햄스트링을 늘어나는 방향(원심성)으로 부하를 적용하였을때 회복의 이점이 훨씬 높았다. 햄스트링은 언제나 단축되고 과도하게 활성되어 문제를 일으키는 말썽꾸러기가 아니다. 반복되는 스포츠에 의한 햄스트링 손상이나, 엉덩이 통증, 무릎 통증에 햄스트링을 활성화 시키는 운동은 햄스트링을 스트레칭하는 운동보다 선호 되어야한다. 모든 재활운동이 마찬가지겠지만 햄스트링의 치료 또한 환자의 부하 수용능력에 맞춰 적절한 부하를 가하는 운동치료가 언제나 최우선이 되어야한다.
'기능해부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견갑대( shoulder girdle)의 구조와 기능: 기능해부학 (0) | 2023.04.10 |
---|---|
관절 운동 형상학(arthrokinemetics): 관절면 움직임 (0) | 2023.03.30 |
기초운동학- 운동사슬(kinematic chain): 열린운동사슬(Okc) 닫힌운동사슬(ckc) (0) | 2023.03.30 |
인체의 면: 시상면 관상면 횡단면 (0) | 2023.03.29 |
기초 해부학 용어 정리( 방향과 위치) (0) | 2023.03.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