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절 운동 형상학(arthrokinemetics)는 관절면의 움직임을 보는 학문을 말한다. 인체가 움직이기 위해서는 근육에 의해 관절의 움직임이 일어나야한다. 관절면의 움직임을 눈으로 볼 수는 없지만 관절면 사이에서는 여러 형태의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 관절면의 움직임 형태는 다양하지만 대체로 곡선의 형태가 있다. 관절면 사이에는 3가지 기본적임 움직임이 있다.
관절면 사이의 기본적인 움직임
1.관절면 움직임: 구름(Roll)
회전하는 관절면의 여러 점들은 이와 마주보고 있는 다른 관절면의 여러 점들과 만난다. 회전하는 굴렁쇠를 의 움직임과 같다.
2. 관절면 움직임: 미끄러짐(slide, glide)
한 관절면에 있는 한점이 마주보고 있는 다른 관절면에 있는 여러 점들과 만난다. 즉 한점이 여러면과 만난다. 미끄러지는 자동차. 얼음위의 스테이트의 움직임과 같다.
3. 관절면 움직임: 축돌림(spin)
한 관절면에 있는 한점이 다른 관절면의 한점에 대해서 축으로 회전하는 움직임. 제자리에서 돌아가는 팽이의 움직임과 같다.
관절면의 이상적 움직임
어깨가 외전하는 동안 상완골두가 상방으로 구르며 관절와 안에서 적절하게 하반으로 미끄러지고 있다.
관절면의 병리적 움직
어깨가 외전 하는 동안 상완골두가 구름후 하방으로 미끄러짐이 이상적으로 일어나지 않고 있다. 즉 상완골두가 관절와를 타고 올라 가고있다. 이때문에 견봉하 공간이 좁아지고 있다. 이것이 충돌증후군의 메카니즘으로 알려져 왔지만 최신의 근거들은 이런 현상으로 충돌증후군이 발생하는 것은 아니라고 보고 되고 있다. 관절운동 형상학의 개념으로만 이해하자.
*병진운동: 직선, 곡선의 움직임
'기능해부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견갑대( shoulder girdle)의 구조와 기능: 기능해부학 (0) | 2023.04.10 |
---|---|
슬괵근 (뒤넙다리근 , 슬건근: hamstring 햄스트링) 기능 해부학 (1) | 2023.04.07 |
기초운동학- 운동사슬(kinematic chain): 열린운동사슬(Okc) 닫힌운동사슬(ckc) (0) | 2023.03.30 |
인체의 면: 시상면 관상면 횡단면 (0) | 2023.03.29 |
기초 해부학 용어 정리( 방향과 위치) (0) | 2023.03.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