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능해부학

관절 운동 형상학(arthrokinemetics): 관절면 움직임

by 직립보행자 2023. 3. 30.

관절 운동 형상학(arthrokinemetics)는 관절면의 움직임을 보는 학문을 말한다. 인체가 움직이기 위해서는 근육에 의해 관절의 움직임이 일어나야한다. 관절면의 움직임을 눈으로 볼 수는 없지만 관절면 사이에서는 여러 형태의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  관절면의 움직임 형태는 다양하지만 대체로 곡선의 형태가 있다. 관절면 사이에는 3가지 기본적임 움직임이 있다. 

관절면 사이의 기본적인 움직임

 

관절면 움직임-구름(roll),미끄러짐(slde),축돌림(spin)

 

1.관절면 움직임:  구름(Roll)

 

관절면의 움직임: 구름(roll)

회전하는 관절면의 여러 점들은 이와 마주보고 있는 다른 관절면의 여러 점들과 만난다. 회전하는 굴렁쇠를 의 움직임과 같다. 
 

2. 관절면 움직임: 미끄러짐(slide, glide)

 

관절면의 움직임: 미끄러짐(slide, glide)

한 관절면에 있는 한점이 마주보고 있는 다른 관절면에 있는 여러 점들과 만난다. 즉 한점이 여러면과 만난다.  미끄러지는 자동차. 얼음위의 스테이트의 움직임과 같다. 
 

3. 관절면 움직임: 축돌림(spin)

 

관절면의 움직임: 축회전(spin)

한 관절면에 있는 한점이 다른 관절면의 한점에 대해서 축으로 회전하는 움직임. 제자리에서 돌아가는 팽이의 움직임과 같다. 
 

관절면의 이상적 움직임

 

관절면의 움직임: 어깨의 외전

어깨가 외전하는 동안 상완골두가 상방으로 구르며 관절와 안에서 적절하게 하반으로 미끄러지고 있다. 

 

관절면의 병리적 움직

관절면의 병리적 움직임:  어깨외전

어깨가 외전 하는 동안 상완골두가 구름후 하방으로 미끄러짐이 이상적으로 일어나지 않고 있다. 즉 상완골두가 관절와를 타고 올라 가고있다. 이때문에 견봉하 공간이 좁아지고 있다. 이것이 충돌증후군의 메카니즘으로 알려져 왔지만 최신의 근거들은 이런 현상으로 충돌증후군이 발생하는 것은 아니라고 보고 되고 있다. 관절운동 형상학의 개념으로만 이해하자.
*병진운동: 직선, 곡선의 움직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