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8 허리 척추관 협착증(lumbar spinal stenosis): 잘못된 진단의 진실 주로 노년 층에서 호발하는 질환인 허리 척추관 협착증(lumbar spinal stenosis)진단이 무분별하게 진단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허리 척추관 협착증(lumbar spinal stenosis) 진단 남발이 의사 선생님들의 무지에서 비롯 된것인지 의도적인 것인지는 알 수 없다. 다만 이런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잘못된 진단은 환자를 더 불안하고 두렵게 만든다. 잘못된 허리 협착증 진단은 환자가 자신의 신체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되었다는 인식을 강화시킴으로 여러가지 부작용을 낳는다. 환자는 자신의 신체를 무의식적?으로 더 약화시키며 결국에는 수술까지 진행되는 사례는 너무나도 흔하다. 요추 협착증(lumbar spinal stenosis)과 협착(narrowing) 은 완전히 다르다. 척추가 '협착(.. 2023. 4. 1. 관절 운동 형상학(arthrokinemetics): 관절면 움직임 관절 운동 형상학(arthrokinemetics)는 관절면의 움직임을 보는 학문을 말한다. 인체가 움직이기 위해서는 근육에 의해 관절의 움직임이 일어나야한다. 관절면의 움직임을 눈으로 볼 수는 없지만 관절면 사이에서는 여러 형태의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다. 관절면의 움직임 형태는 다양하지만 대체로 곡선의 형태가 있다. 관절면 사이에는 3가지 기본적임 움직임이 있다. 관절면 사이의 기본적인 움직임 1.관절면 움직임: 구름(Roll) 회전하는 관절면의 여러 점들은 이와 마주보고 있는 다른 관절면의 여러 점들과 만난다. 회전하는 굴렁쇠를 의 움직임과 같다. 2. 관절면 움직임: 미끄러짐(slide, glide) 한 관절면에 있는 한점이 마주보고 있는 다른 관절면에 있는 여러 점들과 만난다. 즉 한점이 여러면과 .. 2023. 3. 30. 기초운동학- 운동사슬(kinematic chain): 열린운동사슬(Okc) 닫힌운동사슬(ckc) 기초운동학에서도 인체의 움직임을 이해하기 위해서 중요한 운동형상학적 사슬!! 열린 운동사슬과 닫힌 운동사슬은 사지 원위부 끝이 지면이나 , 다른 구조에 고정이 되었는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운동형상학적 용어이다. 열린운동사슬(okc)와 닫힌 운동 사슬(ckc)의 개념을 명확히 이해는 운동의 원리를 이해하는데 첫걸음이 될 수 있다. 열린운동사슬(open kinematic chain OKC) 열린 운동사슬: 운동 형상학적 사슬의 근위부위가 고정 되어 있고 원위 부위가 움직이는 상태를 말한다. 즉 몸통에 가까운 근위 부위가 고정되고 몸통에서 먼 원위부위가 움직이는 상태를 말한다. 예를 들어 태권도 에서 발차기를 할때 고관절을 포함한 하체는 OKC상태에 놓여 있다. 보행시에 공중에 떠있는 발, 축구공을 차는 발, .. 2023. 3. 30.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