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8 기초 해부학-척추(spine)의 구조와 기능 그리고 척추 커브 척추(spine)는 사지의 시작부위 이기도 하며 사지 움직임의 기반이 된다. 척추의 안정성을 바탕으로 사지는 효율적으로 움직임일 수 있게 된다. 척추(spine)는 경추(목뼈cervical spin), 훙추(등뼈 thoracic spine), 요추(허리뼈 lumbar spine)로 구성되어 있다. 척추의 커브는 해부학적으로 이상적인 커브와 기능적인 커브로 나눌 수 있다. 척추 주변 구조물의 변형이나 손상은 척추의 근골격계 질환을 일으키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해부학적으로 이상적인 척추의 S자 커브 인간은 진화를 거치면서 척추의 S자 커브를 갖게 되었다. 척추의 S자 커브는 충격을 흡수하기기 좋은 형태로 인간의 움직임에서 스프링과 같은 역할을 하고 있다. 역학적으로 척추의 S자 척추 커브는 일자 형태의 척.. 2023. 4. 4. 사타구니 통증: 고관절 충돌 증후군(대퇴 비구 충돌 증후군: femoroacetabular impingment. FAI. 대퇴전방활주증후군) 제대로 알기 고관절 통증의 대표적 원인으로 지목되는 대퇴비구 충돌증후군(femoroacetabular impingment syndrome FAI)=고관절 충돌 증후군(hip impingment syndrome)은 단순하게 구조적 관점으로 이해하자면 가짜뼈가 돋아나 고관절에서 부딪힘이 일어나는 질환을 말한다. 고관절 충돌이 지속되면 비구순 파열(labral tear)로 이어진다고 익히 알려져 있다. 하지만 실제 고관절에 통증이 없는 건강한 사람에게서도 X-ray, MRI 상의 문제는 흔하게 보이는 경우가 많다. 고관절 충돌 증후군 환자는 주로 고관절 전면부(사타구니)쪽의 통증을 호소하며 때로는 고관절에서 소리, 찝힘, 허리, 엉덩이 ,허벅지의 통증을 호소하기도한다. 고관절을 움직일때 통증이 발생되고 움직임 자체가 제한.. 2023. 4. 3. 척추 후관절 통증증후군(facet joint pain syndrome)- 허리 펼때 통증 제대로 알기 척추의 움직이는 윤활관절(synovial joint)인 후관절(facet joint 면관절, 돌기사이 관절)은 척추 움직임의 핵심이다. 상하 관절 돌기가 연결된 후관절면의 방향성 덕분에 인간은 척추를 움직일 수 있다. 이 후관절(facet joint)사이로는 감각 신경들이 지나가는데 이 신경들이 염증에 의해 자극받아 통증이 유발되는 질환을 후관절 증후군(facet joint syndrome)이라고 한다. 디스크와는 다르게 후관절 증후군(facet joint)의 차별화된 특징은 허리를 펼때(허리 신전시) 통증이다. 후관절(facet joint)이란? 후관절(facet joint)은 경추에서 요추까지 이어져 있으며 각 부위마다 움직임의 특성이 모두 다르다. 경추는 모든 움직임이 잘 일어나는 후관절면을 가지고.. 2023. 4. 1. 이전 1 2 3 4 5 6 다음